오치아이 에이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치아이 에이지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 해설가이다. 선수 시절에는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활약하며 1998년 최우수 중간 계투 투수상을 수상했고, 1999년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주부닛폰 방송 해설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코치를 역임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지바 롯데 마린스, 주니치 드래건스 등에서 코치로 활동했고, 2024년에는 주니치 드래건스의 2군 감독으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치기현 출신 야구 선수 - 마나카 미쓰루
마나카 미쓰루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출신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외야수로 활동하며 준수한 외모로 인기를 얻었고, 은퇴 후 야쿠르트 감독으로서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현재는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선풍기 사진을 게시하는 취미를 가진 인물이다. - 도치기현 출신 야구 선수 - 와타나베 슌스케
와타나베 슌스케는 언더핸드 투구 폼을 가진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지바 롯데 마린스에서 활약하며 2005년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이후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다. - 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정태
박정태는 롯데 자이언츠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탱크'라는 별명과 독특한 '흔들 타법'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KBO 리그 최다 연속 경기 안타 기록과 2루수 골든글러브 5회 수상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은퇴 후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 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정민태
정민태는 대한민국 전 야구 선수로 투수였으며, 아마추어 시절 MVP를 수상하고 프로에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일본에서 활동하다가 한국으로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 아시아 시리즈에 관한 - 채상병
채상병은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한 대한민국 야구 선수로, 2002 인터컨티넨탈컵 국가대표, 두산 베어스 주전 포수, 삼성 라이온즈 선수로 활동했으며 연세대학교 출신 야구 국가대표팀 출신으로 2015년부터 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 아시아 시리즈에 관한 - 정인욱
정인욱은 2009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2020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13년 동아시아 경기대회에 국가대표로 출전했고, 2021년 은퇴 후 요리점 지점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오치아이 에이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치아이 에이지 |
로마자 표기 | Eiji Ochiai |
출생일 | 1969년 7월 25일 |
출생지 | 일본 도치기현 시모쓰가군 이시바시 정 (현재의 시모쓰케시) |
신장 | 178cm |
체중 | 86kg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우투 |
타석 | 우타 |
선수 경력 | |
고등학교 | 작신학원 고등부 |
대학교 | 일본대학 |
프로 입단 연도 | 1991년 |
드래프트 순위 | 1순위 |
첫 출장 | NPB / 1993년 7월 28일 |
마지막 경기 | NPB / 2006년 8월 2일 |
소속 구단 (선수) | 주니치 드래건스 (1992년 ~ 2006년) |
NPB 통산 승-패 | 37승 45패 |
NPB 통산 세이브 | 24 |
NPB 통산 평균 자책점 | 3.29 |
NPB 통산 탈삼진 | 393 |
코치/감독 경력 | |
코치 경력 | 삼성 라이온즈 투수 코치 (2010년 ~ 2012년, 2018년 ~ 2019년) 지바 롯데 마린스 투수 코치 (2015년 ~ 2017년) 주니치 드래곤스 수석 코치 겸 투수 코치 (2022년 ~ 현재) |
감독 경력 | 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2020년 ~ 2021년) |
소속 구단 (코치/감독) | 삼성 라이온즈 (2010년 ~ 2012년) 지바 롯데 마린스 (2015년 ~ 2017년) 삼성 라이온즈 (2018년 ~ 2021년) 주니치 드래건스 (2022년 ~ 현재) |
현재 소속 구단 | 주니치 드래건스 |
현재 역할 | 2군 감독 |
등번호 | 77, 88 |
수상 | |
수상 내역 | 2× NPB 올스타 (1999년, 2003년) 센트럴 리그 최우수 중간 계투 (1998년) |
2. 선수 시절
도치기현 사쿠신가쿠인 고등학교와 니혼 대학을 거쳐 1991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주니치 드래건스에 1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대학 시절 팔꿈치 부상을 당했지만, 재활을 거쳐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1]
입단 초기에는 부상 여파와 재활로 인해 주로 구원 투수로 등판했다. 1998년에는 당시 팀의 마무리 투수였던 선동열 앞에서 던지는 셋업맨 역할을 맡아 55경기에 등판하여 최우수 중간 계투 투수 타이틀을 차지하며 선수 경력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듬해 1999년에는 이상훈, 신인 이와세 히토키 등과 함께 강력한 중간 계투진의 한 축을 담당하며 팀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고, 일본 시리즈에도 등판했다.[2][3]
이후 몇 년간 부상과 부진을 겪기도 했으나,[4][5][6][7][8][9][10] 2003년에는 개인 최다인 61경기에 등판하여 7승 무패, 평균자책점 1.77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건재함을 과시했다.[11][12][13] 2004년에도 중간 계투진의 핵심으로 활약하며 팀의 일본 시리즈 진출에 힘을 보탰고, 때로는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기도 했다.[14][15][16]
2005년에는 잠시 선발 투수로 전환했으나[17][18][19][20], 시즌 중 다시 중간 계투로 복귀했다.[21] 2006년에는 투구폼 수정 문제 등으로 부진하여 5경기 등판에 그쳤고,[22][23] 시즌 종료 후 구단으로부터 방출 통보를 받았다. 구단의 코치직 제안을 거절하고 현역 연장 의지를 보였으나, 결국 은퇴를 결정했다.[24]
주니치 시절 1구 승리 투수, 1구 세이브 투수, 1구 홀드, 1구 패전 투수 등 다양한 진기록을 남겼다.
2. 1. 아마추어 시절
도치기현 출신으로 사쿠신가쿠인 고등학교 재학 시절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다. 1986년 가을 도치기 대회에서는 준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사노니치다이 고등학교에 패했다. 이듬해인 1987년 봄 도치기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이시이 다쿠로가 소속된 아시카가 공업고등학교를 상대로 완봉승을 거두었다. 결승에서는 다카무라 히로시가 있던 전년도 선발 고교야구 대회 준우승팀 우츠노미야미나미 고등학교에 패배했지만, 준우승 자격으로 관동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그러나 관동 대회에서는 2회전(첫 경기)에서 조소학원 고등학교의 에이스 시마다 나오야에게 막혀 완봉패를 당했다. 같은 해 여름 도치기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다시 아시카가 공업고등학교의 이시이 다쿠로와 맞붙었으나, 연장 10회 끝에 끝내기 패배를 당하며 4강 진출에 만족해야 했다. 고등학교 동기생으로는 긴테쓰 버펄로스에서 신인왕을 수상한 다카무라 히로시가 있다.고교 졸업 후 니혼 대학 경제학부에 진학하여[1] 경식 야구부에 입단했다. 당시 니혼 대학은 도토 대학 야구 리그 2부에 머물러 있었으나, 오치아이는 150km/h의 빠른 공을 주무기로 활약했다. 1989년 가을 리그에서는 6승을 거두며 팀의 2부 리그 우승에 기여했고, 이어진 승강전에서 고쿠가쿠인 대학을 상대로 2연투하며 팀의 1부 리그 복귀를 이끌었다. 이후에도 팀의 주축 투수로 활약했으며, 1990년에는 제31회 IBAF 월드컵 일본 대표팀으로 선발되기도 했다. 같은 해 가을 리그 승강전에서는 완봉승과 완투승을 포함한 3연투로 팀의 1부 리그 잔류에 공헌했다. 도토 대학 리그 통산 성적은 1부 리그 27경기 등판, 8승 13패, 평균자책점 2.12, 탈삼진 148개를 기록했고, 2부 리그에서는 12승 2패를 기록했다. 같은 리그의 와카타베 켄이치(고마자와 대학)와 함께 프로 야구 드래프트 상위 지명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대학 4학년 때 투구 중 오른쪽 팔꿈치 뼈가 부러지는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 한때 선수 생명이 위태로웠지만, 회복 가능성을 믿은 주니치 드래건스가 1991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도호쿠 복지대학의 에이스 사이토 다카시의 낙첨 후 1순위로 지명하여 입단하게 되었다. 대학 시절 1년 후배로는 몬나 테츠히로, 와타나베 히로유키, 마나카 미츠루 등이 있으며, 이 중 와타나베 히로유키는 프로에서도 함께 뛰었다.
2. 2. 주니치 드래건스 시절
프로 1년차인 1992년에는 팔꿈치에 사파이어를 삽입하는 수술을 받고 재활에 매진했다. 2년차인 1993년에 1군에 처음 등판했으며, 초기 몇 년간은 팔꿈치 상태를 고려하여 주로 숏 릴리프(short relief)로 기용되었다. 1995년 이후에는 팀 사정상 선발 등판 기회를 얻었으나, 투구 내용의 기복이 심해 꾸준한 성적을 내지는 못했다.같은 성씨의 오치아이 히로미쓰가 주니치에 선수로 있던 시기에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전광판에 오치아이 에이지는 '오치아이 에이'(落合英일본어), 오치아이 히로미쓰는 '오치아이'(落合일본어)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도쿄 돔에서는 한때 히로미쓰를 '오치아이 히로'(落合博일본어)로 표기하기도 했으며, 요미우리 신문 등 일부 언론에서도 '오치아이 히로' 표기를 사용했다.
1998년은 그의 선수 경력에 전환점이 된 해였다. 대학 선배이기도 한 미야타 유키노리 투수 코치의 권유로, 당시 마무리 투수였던 선동열에게 연결하는 셋업맨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 해 그는 유미나가 키히로에 이어 리그 2위에 해당하는 55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2.82, 4승 5패 5세이브, 릴리프 포인트 19.70을 기록하며 최우수 중간 계투 투수 타이틀을 차지했다.
1999년에는 프로 데뷔 8년 만에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선출되었다.[2] 또한 이상훈, 신인 이와세 히토키 등과 함께 강력한 중간 계투진을 구축하여 팀의 센트럴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같은 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는 3경기에 등판했고, 특히 2차전에서는 9회부터 가와카미 겐신을 구원 등판하여 승리에 힘을 보탰다. 시즌 후 12월 24일에는 2900만엔 증액된 연봉 8600만엔에 계약을 갱신했다.[3]
2000년에는 스프링 캠프 중 오른쪽 어깨 통증으로 인해 개막을 2군에서 맞이했다.[4] 5월 복귀를 목표로 했으나[5], 4월과 5월에 통증이 재발하며 조정이 늦어져 전반기에는 7월 19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단 한 경기 등판에 그쳤다.[6] 최종적으로는 21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2.75를 기록했다.
2001년 5월 10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나고야 돔)에서는 2년 만에 세이브를 기록했다.[7] 시즌 중 5경기 연속 실점을 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8], 최종적으로는 45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1.73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2년에는 3월 30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와의 개막전(나고야 돔) 등판 중 왼쪽 옆구리 부상을 당해 다음 날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9][10] 이 해에는 37경기에 등판하여 1승 2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2.62를 기록했다. 시즌 후 12월 16일에는 300만엔 감액된 연봉 8500만엔에 계약을 갱신했다.
2003년 8월 3일에는 FA 자격을 취득했다.[11] 이 해 개인 최다인 61경기에 등판하여 7승 무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1.77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남겼다. 시즌 후 FA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주니치와 3년 총액 4억엔에 잔류 계약을 맺었다.[12][13]
오치아이 히로미쓰가 감독으로 부임한 2004년에는 3월 오른쪽 어깨 통증으로 개막을 2군에서 시작했다.[14] 4월 21일 1군에 등록되어 다음 날 한신 타이거스전(나고야 돔)에서 시즌 첫 등판을 가졌다.[15] 이 해에도 중간 계투진의 핵심으로 활약했으며, 부진했던 이와세 히토키를 대신해 마무리 투수를 맡기도 했다. 9월 26일에는 7년 만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5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16]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3경기에 중간 계투로 등판했다.
2005년에는 구단 수뇌부의 권유로 다시 선발 투수로 전향했다.[17][18] 8년 만에 개막 로테이션에 합류하여[19] 5월 5일 야쿠르트 스왈로스전(나고야 돔)에서 시즌 첫 선발승을 거두었다.[20] 하지만 교류전 기간 중 세이부 라이온스전(인보이스 세이부 돔)에서 4이닝 4실점으로 부진한 후[21], 다시 중간 계투로 돌아갔다.
2006년에는 투구폼 규정 개정으로 2단 모션 수정 문제 등이 겹치면서 개막을 2군에서 맞이했다. 1군에 복귀한 뒤에도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했고, 결국 5경기 등판에 그쳤다.[22][23] 팀이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을 때 그는 1군에 없었지만, 오랫동안 그를 지원해 온 나가타 트레이너가 감독 헹가래 순간 그의 등번호 '26'이 적힌 등번호판을 들어 보이며 만세를 외쳤다. 나가타 트레이너 외에도 그를 따르던 아라키 마사히로나 아사쿠라 겐타 역시 모자 뒷면에 '26'을 쓰고 경기에 나서기도 했다. 시즌 종료 후 구단으로부터 방출 통보를 받았고, 구단은 2군 투수 코치직을 제안했지만 현역 생활 연장 의지를 밝히며 이를 거절했다.[24] 이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주니치 시절 1구 승리 투수, 1구 세이브 투수, 1구 홀드, 1구 패전 투수, 0구 등판(교체 통보 후 마운드에 올랐으나 우천 중단 후 강판) 등 진기록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주부닛폰 방송 등에서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으며, 이 기간 동안 주니치 시절 인연이 있던 선동열 감독이 이끌던 삼성 라이온즈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 2010년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코치로 정식 부임했고, 2011년 류중일 감독 체제에서는 투수진 운용의 전권을 맡아 팀의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12년 아시아 시리즈를 마친 후 삼성 코치직에서 물러났다.[37]
2013년부터 다시 야구 해설가로 복귀하여 주부닛폰 방송, 도카이 라디오 방송, TV 아이치 등에서 활동하고 주니치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도 맡았다. 2014년 10월 16일에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투수 코치로 부임했다.[38]
2018년 시즌을 앞두고 삼성 라이온즈의 투수 코치로 복귀했으며, 2019년 시즌 후에는 코치직을 정현욱에게 넘기고 2020년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2군 감독을 맡았다.[39] 이는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의 순수 일본인 투수 출신 2군 감독이었다. 2021년 시즌 종료 후, 다쓰나미 가즈요시가 주니치 드래건스의 신임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그의 부름을 받아 주니치의 수석 코치 겸 투수 코치로 이적했다.
3. 1. 해설가 및 코치 경력
2006년 시즌 투구 폼 문제 등으로 부진하여 1군 5경기 등판에 그쳤고,[23] 시즌 후 방출 통보를 받았다. 구단은 2군 투수 코치직을 제안했지만 현역 연장 의사를 밝히며 거절하고 은퇴했다.[24]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주부닛폰 방송(CBC) 등에서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주니치 시절 동료였던 선동열 감독과의 인연으로 대한민국의 삼성 라이온즈에서 코치 연수를 받았다.
2010년 삼성 라이온즈의 1군 투수 코치로 부임하여 투수진 재건에 기여했다. 2011년 류중일 감독 체제에서는 투수 운용 전권을 맡아 능력을 인정받았다. 2011년 시즌 후 일본 구단의 제의가 있었으나, 2012년까지 삼성에 잔류하며 팀의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오승환 등이 그의 지도를 받았다. 2012년 아시아 시리즈 종료 후 코치직에서 물러났다.[37][25]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다시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며 주부닛폰 방송, 도카이 라디오 방송, TV 아이치 등에서 해설을 맡았고, 주니치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로도 활동했다.
2014년 10월 16일 지바 롯데 마린스의 1군 투수 코치로 부임했다.[38][26] 2017년에는 등록명을 '에이지'로 변경했으나, 시즌 종료 후인 10월 11일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았다.[27]
2017년 11월 가을 캠프부터 합류하여 2018년 시즌 삼성 라이온즈의 1군 투수 코치로 복귀했다.[28] 2019년 시즌 종료 후 코치직을 정현욱에게 넘기고, 2020년부터는 삼성 2군 감독으로 활동했다.[39] 이는 KBO 리그 최초의 순수 일본인 투수 출신 2군 감독이었다.
2021년 시즌 후 주니치 드래건스의 신임 감독으로 부임한 다쓰나미 가즈요시의 요청으로 2022년 시즌부터 주니치의 1군 수석 코치 겸 투수 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과거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사용했던 '''77'''번을 받았다.[29]
2024년 10월 6일 시즌 종료 후 주니치 구단에서 퇴단하는 것으로 발표되었으나,[30] 새로 부임한 이노우에 가즈키 감독의 잔류 요청을 받아들여 10월 28일 주니치의 2군 감독으로 취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31]
=== 해설자 경력 ===
- 주부닛폰 방송 야구 해설자 (2007년 ~ 2009년, 2013년 ~ 2014년)
- 주니치 스포츠 야구 평론가 (2013년 ~ 2014년)
- 사무라이 프로 야구 (CBC TV)
- 선데이 드래곤즈 (CBC TV)
- 타올라라 드래곤즈 (CBC 라디오)
3. 2. 주니치 드래건스 코치 복귀
2021년 시즌 후 다쓰나미 가즈요시가 주니치 드래건스의 신임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수석코치 겸 투수코치로 선임되어, 2022년부터 주니치의 1군 헤드 겸 투수 코치로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감독으로 취임한 다쓰나미 가즈요시는 도카이 TV의 뉴스 프로그램 '뉴스One'에 출연하여 "'''77은 오치아이 에이지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라고 발언했고, 이에 따라 과거 호시노 센이치가 감독 시절 사용했던 등번호 '''77'''을 받게 되었다.[29]2024년 10월 6일, 그 해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날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나[30], 직후 새로 취임한 이노우에 가즈키 감독의 잔류 요청을 받아들였다. 같은 해 10월 28일, 2군 감독으로 보직을 변경하여 팀에 남는 것이 발표되었다.[31]
4. 인물 및 기타
"영감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음과 같은 일화들이 전해진다.
- 경기 중, 당시 팀 동료였던 다이호 야스아키에게 자신의 배트를 건네며 "이 배트를 쓰면 칠 수 있다"고 말했는데, 실제로 다이호는 그 배트로 홈런을 쳤다.
- 1996년에는 야마자키 타케시에게도 배트를 건넸는데, 그 해 야마자키는 홈런왕 타이틀을 차지했다[32]。
- 1999년, 일본의 정보 프로그램인 닛폰 TV의 《줌인!! 아침!》의 프로야구 집중 정보 코너에서 어느 구장에서 우승을 확정 지을 것 같냐는 질문에 "불펜이 외부에 있는 구장에서 호시노 감독이 헹가래를 받는 모습이 보인다"고 예측했다. 실제로 주니치는 불펜이 외부에 있는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리그 우승을 결정지었다.
- 2009년 6월 30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 6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후지이 아츠시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후지이가 홈런 타자가 아니고 이전 시즌 만루 타율(7타석 1안타)도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후지이가 힘차게 베이스를 도는 모습이 보인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 타석에서 후지이는 역전 그랜드 슬램이자 프로 데뷔 첫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33]。
- 주니치 시절 팀 동료였던 가와카미 겐신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오치아이의 영감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이야기한 바 있다[34]。
- 2022년 3월 20일 오픈전인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경기에서 주니치의 응원가 "사우스포"가 스피커에서 흘러나오자, 리듬을 타며 즐거워하는 모습이 주니치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5. 수상·타이틀 경력
- 최우수 중간 계투: 1회 (1998년)
6. 개인 기록
1998년에는 셋업맨으로 활약하며 최우수 중간 계투 투수 타이틀을 차지했다.
6. 1. 첫 기록
- 첫 등판 : 1993년 7월 28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차전(나고야 구장), 9회초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 1993년 8월 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8회말에 에토 아키라로부터
- 첫 승리 : 1993년 9월 28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1차전(나고야 구장), 7회초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첫 세이브 : 1994년 7월 2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5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 1사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과 2/3이닝 무실점
- 첫 선발·첫 선발 승리 : 1995년 5월 27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7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6이닝 1실점
-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 1996년 4월 24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 첫 홀드 : 2005년 7월 1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5회말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6. 2. 기타
- 오치아이 히로미쓰가 주니치에 재적하던 시기에는 스코어보드에 오치아이 에이지는 ‘落合英|오치아이 에이일본어’, 히로미쓰는 ‘落合|오치아이일본어’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도쿄 돔에서 히로미쓰가 ‘落合博|오치아이 히로일본어’로 표기된 적이 있으며, 요미우리 신문 등 일부 언론에서도 히로미쓰를 ‘落合博|오치아이 히로일본어’로 표기했다.
- 1구 승리 투수, 1구 세이브 투수, 1구 홀드, 1구 패전 투수, 0구 등판이라는 진기록을 가지고 있다. 0구 등판은 교체를 통보받고 마운드에 올랐으나 비로 인해 경기가 중단된 후 강판된 경우로, 투구 연습 중 부상으로 강판되었다는 설도 있었으나 본인이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를 부인한 바 있다.
- 2006년 팀이 리그 우승했을 당시 오치아이는 1군에 없었지만, 그를 오랫동안 지지해 온 나가타 트레이너가 감독 헹가래 순간에 그의 등번호 ‘26’번 플레이트를 들고 만세를 외쳤다. 또한, 오치아이를 따르던 아라키 마사히로나 아사쿠라 겐타도 모자 뒤에 ‘26’을 쓰고 경기에 출전했다.
- 2022년 주니치 1군 헤드 겸 투수 코치로 부임했을 때, 감독으로 취임한 다츠나미 가즈요시는 뉴스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과거 호시노 센이치가 감독 시절 사용했던 등번호 '''77'''번을 언급하며 "'''77번은 오치아이 에이지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고, 오치아이는 등번호 77번을 달게 되었다.[29]
; 주요 기록
- 첫 등판: 1993년 7월 28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차전(나고야 돔), 9회초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1993년 8월 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8회말에 에토 아키라로부터
- 첫 승리: 1993년 9월 28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1차전(나고야 돔), 7회초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첫 세이브: 1994년 7월 2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5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 1사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과 2/3이닝 무실점
- 첫 선발 등판·첫 선발 승리: 1995년 5월 27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7차전(지바 마린 스타디움), 6이닝 1실점
-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1996년 4월 24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 첫 홀드: 2005년 7월 1일,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5회말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 기타 기록
7. 등번호
- '''19''' (1992년 ~ 1993년)
- '''71''' (1994년)
- '''25''' (1995년)
- '''26''' (1996년 ~ 2006년)
- '''88''' (2010년 ~ 2012년, 2015년 ~ 2021년, 2025년 ~ )
- '''77''' (2022년 ~ 2024년)
참조
[1]
웹사이트
代表紹介
https://fudousan-sog[...]
2022-04-29
[2]
뉴스
夢舞台でも大暴れ誓うドラ戦士 監督推薦で5人が球宴出場
http://chuspo.chunic[...]
2022-04-29
[3]
뉴스
落合 ふくれっ面サイン 金額面納得も中継ぎ査定まだ不満
http://chuspo.chunic[...]
2022-04-29
[4]
뉴스
落合「開幕」アウト!/竜 抑え4枚でスタート
http://chuspo.chunic[...]
2022-04-29
[5]
뉴스
落合球宴明けにも1軍
http://chuspo.chunic[...]
2022-04-29
[6]
뉴스
落合復活だ!!146キロ試運転上々 1イニング3人ピシャリ
http://chuspo.chunic[...]
2022-04-29
[7]
뉴스
落合2年ぶりセーブ 9回ピシャリ
http://chuspo.chunic[...]
2022-04-29
[8]
뉴스
投手陣は耐えきれない 自慢の中継ぎも誤算
http://chuspo.chunic[...]
2022-04-29
[9]
뉴스
落合 微減にホッ 300万減8500万 来季“失地回復”
http://chuspo.chunic[...]
2022-04-29
[10]
뉴스
落合 登録抹消 左ろっ間筋の肉離れ 1軍復帰早くても来月中旬
http://chuspo.chunic[...]
2022-04-29
[11]
뉴스
落合「FA行使するときは、出るとき」
http://chuspo.chunic[...]
2022-04-29
[12]
뉴스
落合英、残留決意 ドラゴンズで最後まで野球やりたい
http://chuspo.chunic[...]
2022-04-29
[13]
뉴스
落合英 3年4億円で合意 オーナーから「残留ありがとう」
http://chuspo.chunic[...]
2022-04-29
[14]
뉴스
落合英は開幕微妙 右肩に違和感 1週間ノースロー
http://chuspo.chunic[...]
2022-04-29
[15]
뉴스
英二、今期初登板踏ん張った 中継ぎ万全に
http://chuspo.chunic[...]
2022-04-29
[16]
뉴스
落合英が先発!7年ぶり白星
http://chuspo.chunic[...]
2022-04-29
[17]
뉴스
英二、あるぞ先発転向 8年ぶりローテ復帰案浮上
http://chuspo.chunic[...]
2022-04-29
[18]
뉴스
先発好感触 英二「ヨシッ」 フリー打撃初登板 直球オンリー55球
http://chuspo.chunic[...]
2022-04-29
[19]
뉴스
落合英、反省2発
http://chuspo.chunic[...]
2022-04-29
[20]
웹사이트
2005年5月5日 【公式戦】 試合結果 (中日vs東京ヤクルト)
https://npb.jp/bis/2[...]
2022-04-29
[21]
뉴스
ドラゴンズ、先発投手陣再編 今季初の同一カード3連敗
http://chuspo.chunic[...]
2022-04-29
[22]
뉴스
岡本抹消、落合英二が昇格へ
http://nagoya.nikkan[...]
2022-04-29
[23]
뉴스
落合英二引退 竜ひと筋15年 故障とも闘い続けた投のリーダー
http://chuspo.chunic[...]
2022-04-29
[24]
뉴스
中日落合英二が引退会見
http://nagoya.nikkan[...]
2022-04-29
[25]
뉴스
異文化で確かな功績を残した落合英二 自費参加から「韓国一の投手コーチ」に
https://sports.yahoo[...]
2023-10-04
[26]
웹사이트
落合英二氏 投手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marines.[...]
2023-10-04
[27]
웹사이트
コーチ契約について
https://www.marines.[...]
2023-10-04
[28]
뉴스
落合英二氏が来季韓国サムスン投手コーチに 今季でロッテ退団
https://www.sponichi[...]
2023-10-04
[29]
뉴스
【中日】星野仙一さんの背番号『77』は落合英二ヘッドに「ベンチに77番は必要」立浪新監督明かす
https://www.chunichi[...]
2023-10-04
[30]
뉴스
中日、片岡ヘッドら5人の退団を発表 3年連続の最下位…和田&落合コーチも
https://full-count.j[...]
2024-10-07
[31]
뉴스
【中日】落合英二氏が2軍監督 今季限り退団を井上監督が説得し異例の復帰 松中信彦氏らも入閣
https://www.nikkansp[...]
2024-10-28
[32]
뉴스
中日・山崎武司 霊感強かった同僚の予言に従い本塁打量産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3-10-27
[33]
뉴스
下柳攻略…伏線は足攻
http://www.chunichi.[...]
2022-04-29
[34]
Youtube
【恐怖実話】中日の霊能者 落合英二との呪われた極秘合宿 沖縄の幽霊ビーチ
https://www.youtube.[...]
2021-08-23
[35]
뉴스
チームメイトが恋人にしたい男、ドラゴンズに堂上直倫がいてよかった 文春野球コラム ペナントレース2018
https://bunshun.jp/a[...]
2022-04-29
[36]
웹사이트
落合 1球白星 サヨナラ呼んだ竜投必勝リレー
http://chuspo.chunic[...]
1999-07-12
[37]
뉴스
異文化で確かな功績を残した落合英二 自費参加から「韓国一の投手コーチ」に
http://sportsnavi.ya[...]
Sports Navi
2012-10-29
[38]
웹사이트
落合英二氏 投手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marines.c[...]
지바 롯데 마린스 공식 홈페이지
2014-10-16
[39]
뉴스
"[IS 이슈] '허삼영호' 삼성, 데이터 야구와 프런트 야구의 줄타기"
https://sports.news.[...]
일간스포츠
2019-10-01
[4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